네트워크의 구성
포스트
취소

네트워크의 구성

네트워크의 구성

  • PC (컴퓨터나 서버)
  • 네트워크 접속 장치
    •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
  • 네트워크 전송 매체
    • 유선 전송 매체
    • 무선 전송 매체

네트워크의 형태

근거리 네트워크 (LAN)

  • 범위가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인 네트워크
  • 유선 케이블, 적외선 링크, 무선 송수신기 등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 한 건물 또는 인접한 건물군 내에 있는 네트워크는 하나의 LAN으로 간주된다.
  • 각 LAN은 특정한 프로토콜로 운영된다.
  • 하나의 LAN이 여러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도 있다.
  • LAN은 연결하는 거리가 짧은 만큼 신호가 약해지거나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낮다.

광역 네트워크 (WAN)

  • 2개 이상의 LAN을 넓은 지역에 걸쳐 연결한 네트워크
  • 라우터같은 도구를 통해서 LAN을 연결한다.
  • LAN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원격의 컴퓨터들도 WAN을 이용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 WAN은 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다.
  • ISP : 인터넷 상용 서비스 사업을 하고 있는 통신 사업자
  • WAN은 멀리 떨어진 LAN과 연결되어 있기 떄문에 신호가 약해지거나 오류가 발생활 확률이 높다.
  • 거리가 멀어지는 만큼 속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WAN이 LAN보다 느리다.

인트라넷

  •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회선과 여러 기반 기술을 이용하여 구축하는 사설 네트워크

네트워크 접속 장치

LAN 카드 (NIC)

  • 두 대 이상의 컴퓨터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외부 네트워크와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컴퓨터 내에 설치하는 확장 카드
  •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물리적 장치에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LAN 카드가 있어야 한다.
  • LN 카드는 전송 매체에 접속하는 역할과 데이터 입출력 및 송수신, 프로토콜 처리 등을 담당한다.
  • LAN 카드는 마더보드의 확장 슬롯에 설치하며, 네트워크 케이블을 연결하는 외부 포트를 포함하고 있다.
  • 각 LAN 카드에는 주민등록번호처럼 고유의 식별 코드가 있다.
  • LAN 카드에 할당된 48비트의 물리적 주소를 MAC 주소라고 한다.
  • MAC 주소는 사용자의 컴퓨터와 물리적 네트워크 사이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허브

  • 여러 개의 입력 및 출력 포트가 있는 형태의 특수한 형태의 네트워크 장치
  • 한 포트에서 수신된 신호는 허브의 다른 모든 포트로 재전송된다.
  • 허브는 모든 입력과 출력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여러 개의 노드가 똑같은 중계기를 공유할 수 있다.
  • 허브를 사용하면 네트워크에 연결관 컴퓨터끼리 통신할 수 있다.
  • 허브의 종류
    • 더미 허브
    • 스위칭 허브
    • 스태커블 허브
    • 인텔리전트 허브
더미 허브
  • 데이터를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로 전송하는 장치
  • 단순히 컴퓨터와 컴퓨터 간의 네트워크를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 네트워크의 전체 대역폭을 노드 수만큼 분할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허브에 연결된 노드의 수가 증가하면 네트워크의 속도가 떨어진다.
스위칭 허브
  • 전체 대역폭을 컴퓨터 노드 수만큼 나누어 사용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접속 장치
  • 단순히 전송하는 기능을 넘어 수신지 주소로 스위칭 하는 기능이 있다.
  • 노드들을 각각 점대점으로 접속시키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효율이 훨씬 높다.
  • CSMA/CD 방식의 네워크에서도 충돌이 발생하지 않기 떄문에 더미 허브보다 전송 속도가 훨씬 빠르다.
  • 스위칭 : 수신 측 주소를 읽어 그 주소의 단말기로만 데이터를 보내는 기능
스태커블 허브
  • 스택 접속 포트를 갖춘 허브
  • 허브와 허브 사이를 연결하여 용량을 확장할 수 있다.
  • 중규모 이상의 네트워크는 스태커블 허블를 여러 층 쌓아서 구성한다.
  • 일반 포트를 이용하여 여러 더미 허브를 연결하면 컴퓨터 사이에 데이터 전송 속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 스태킹된 허브는 하나의 장치처럼 인식되게 때문에 네트워크 관리자는 허브 한 대만 관리하면 된다.
  • 스태킹을 위한 장치는 마스터 허브와 슬레이브 허브로 구성되어 있다.
인텔리전트 허브
  • 신호의 조절과 변경 등 다양한 지능형 기능을 포함한 허브
  •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데이터 제어와 분석이 가능하다.
  • 모든 단말기가 영향을 받는 충돌이 발생했을 때 충돌을 일으키는 포트를 강제로 차단하여 나머지 단말기가 문제없이 통신할 수 있다.

스위치

  • 컴퓨터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극대화하는 장치
  • 허브와 달리 근거리 통신망이 제공하는 대역폭을 모두 컴퓨터로 전송한다.
  • 스위치는 데이터를 하드웨어로 처리하므로 브리지보다 처리속도가 빠르다.
  • 스위치는 연결되는 포트에 서로 다른 속도를 연결하는 기능을 지원한다.
  • 스위치는 허브와 동일한 방식으로 동작한다.
  • 스위치는 데이터의 수신 컴퓨터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를 수신하기로 되어 있는 컴퓨터에만 데이터를 보낸다.
  • 스위치는 데이터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으므로 허브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보낸다.

브리지

  • 2개 이상의 근거리 통신망을 연결하여 하나의 네트워크로 만드는 장치
  • 수신지 주소에 따라 특정 네트워크 트래픽만 통과시킬 수 있도록 설계뙨 특수한 형태의 네트워크 스위치
  • 근거리 통신망에서 하나의 장치가 데이터를 송신할 때 다른 장치도 데이터를 송신하면 충돌이 발생한다.
  • 네트워크에 노드가 많아지면 충돌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통신 속도도 떨어지는데 브리지를 이용하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브리지는 받은 신호를 증폭하고 입력과 출력을 연결하는 스위치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 브리지는 스위치와 달리 전체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줄이기 위해 네트워크를 세그먼트 단위로 분할한다.
  • 세그먼트
    • 하나의 허브나 스위치로 구성된 가장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
    • 네으퉈크의 대역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여러 개의 세그먼트로 나누어 관리한다.

게이트웨이

  • 종류가 다른 2개 이상의 네트워크를 서로 접속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장치
  • 근거리 통신망 등 하나의 네트워크를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할 때 사용된다.
  • 브리지와 달리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 통신망 간에도 프로토콜을 변환하여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다.

리피터 (중계기)

  • 접속 시스템의 수를 증가시키거나 네트워크 전송 거리를 연장하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
  • 네트워크에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한 후 다음 구간으로 재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케이블에 따라 전송 거리에 제약이 있을 수 있다.
    • 흔히 사용하는 UTP 케이블은 보통 100m 정도까지만 가능하다.
    • 만약 UTP 케이블을 사용하는데 전송 거리가 그 이상이라면 리피터를 통해서 신호를 재전송해야 한다.
    • 광섬유 케이블도 수 km에서 수백 km로 전송 거리가 제한적이다.
  • 중계기는 케이블 전송 거리 제약에 의한 신호 감쇠 문제를 해결해주기 떄문에 중계기를 여러 개 사용하여 먼 거리까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 장거리로 전송하면 신호가 약해지거나 감쇠되는데, 중계기는 노드 사이의 케이블에서 신호를 증폭하여 이를 해결한다.
  • 중계기는 신호를 증폭하기만 할 뿐 데이터의 내용을 변경하지는 않는다.
  • 중계기는 통신망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를 확장하거나 서로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한다.
  • 간혹 물리적 저항과 임피던스로 신호의 감쇠가 발생하면 신호를 재생하고 타이밍을 재조정하기도 한다.
  • 임피던스
    • 회로에서 전압이 가해졌을 때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정도
    • 교류 전류의 방해를 의미한다.

라우터

  •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통신하는데 사용하는 장치
  • 구조가 다른 망을 연결할 수 있어서 LAN, MAN, WAN을 연결하는 데 이용된다.
  • IP 주소를 바탕으로 데이터가 수신지까지 갈 수 있는 경로를 검사하여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는 라우팅 기능도 수행한다.
  • 라우팅은 라우터에 있는 라우팅 테이블이 결정한다.
  • 라우팅 테이블은 인터넷 상에서 수신지의 주소를 토대로 경로상의 다음 주소를 결정하여 그 경로로 데이터를 보낸다.
  • 라우팅 테이블은 라우터 간의 정보 교환을 동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 라우터는 오류 패킷의 폐기 기능과 혼잡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 라우터는 논리 주소에 따라 네트워크 트래픽의 방향을 지정한다.
  • 라우터는 둘 이상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데 사용한다.
  • 라우터는 웹 페이지 요청을 수신지로 전송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 라우터를 사용하면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 라우터는 방화벽과 같은 1차적인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 라우터는 허브나 스위치보다 가격이 비싸다.
  • 라우터의 종류
    • 유선 라우터
    • 무선 라우터

AP (Access Point)

  • 무선 LAN 카드
  • 서로 간의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
  • 노트북 등의 무선 접속 장치를 유선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연결하는 데 사용하는 장치
  • AP는 유선 이더넷 네트워크에 무선 액세스를 제공한다.
  • AP는 허브나 스위치, 유선 라우터에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전송한다.
  • AP는 위치를 이동하면서도 계속해서 네트워크에 무선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 AP는 주로 공항이나 커피숍 등 공공장소에서 공용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무선으로 연결할 때 이용한다.
  • 무선 기능을 제공하는 라우터는 컴퓨터를 무선으로 연결할 떄 AP가 필요하지 않다.

네트워크 접속 형태

  • 전송 매체와 프로토콜이 결정되면 다양한 형태로 컴퓨터를 구성할 수 있다.
  • 네트워크의 구성을 다른 말로 네트워크 토폴로지라고도 부른다.
  •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노드와 링크가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방식을 말한다.
  • 노드
    • 네트워크에 연결된 주소가 있는 통신 장치
    • 컴퓨터, 프린터, 복합기 등이 하나의 노드가 될 수 있다.
  • 링크 하나에 2개 이상의 노드가 연결된다.
  • 2개 이상의 링크가 접속 형태를 구성한다.
  • 네트워크 접속 형태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여러 노드의 물리적인 배열이 아닌 상호 연결 방법을 보여준다.

성(星)형

  • 가장 일반적인 네트워크 구성 형태
  • 전화망에서 유래됬다.
  • 네트워크 중앙에 위치한 허브가 모든 노드를 연결한다.
  • 허브가 회선 교환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하려는 노드 2개에 전용 회선을 만들어준다.
  • 성형은 일대일로 구성되는 점대점의 확장 형태라고 할 수 있다.
  • 성형에서는 모든 노드가 중앙의 허브에 연결되어 통신하므로 허브가 통신망의 처리 능력과 신뢰성을 좌우한다.
  • 성형에서 하나의 케이블은 허브 같은 중앙의 네트워크 장치하고만 연결되므로 배선 문제는 해당 노등만 영향을 줄 뿐 네트워크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 성형은 링형이나 버스형처럼 한 노드만 고장이 나도 네트워크 전체가 다운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 성형은 중앙에 위치한 메인프레임(허브)에 터미널을 연결한 메인프레임 시스템의 형태이다.
  • 빠른 속도로 작동하는 메인프레임 시스템은 많은 입출력 장치를 신속하게 제어하여 여러 사용자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대기업, 은행, 병원 등에서 활용하고 있다.
  • 각 장치가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없다.
  • 중앙에 있는 제어 장치(허브)가 교환 역할을 한다.
  • 송신 측에서 수신 측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떄는 데이터를 중앙의 허브로 보내면 허브가 주소를 가리키는 수신지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장점
    • 성형에서는 각 장치와 다른 장치를 연결하는 링크 하나와 I/O 포트 하나만 필요하다.
      • 설치 비용이 저렴하다.
      • 중앙 집중적인 구조이므로 유지·보수나 확장이 용이하다.
    • 링크 하나가 끊어져 작동하지 않을 떄 그 링크만 영향을 받고 다른 링크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안전성)
      • 결함을 쉽게 식별하고 분리할 수 있다.
      • 허브는 링크에서 발생한 문제를 점검하여 결함이 발견된 링크를 우회하는 역할을 한다.
  • 단점
    • 중앙에 전송 제어 장치에 장애가 발생하면 전체 네트워크가 작동할 수 없다.
    • 통신량이 많으면 전송이 지연된다.
    • 각 노드가 중앙 허브와 연결되어야 하므로 다른 접속 형태보다 많은 케이블을 연결해야 한다.

버스형

  • 모든 네트워크 노드와 주변장치가 파이프 등의 일자형 케이블(버스)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
  • 버스형에서는 하나의 긴 케이블이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를 연결하는 중추 네트워크 역할을 한다.
  • 모든 노드는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다.
  • 케이블의 시작과 끝에는 터미네이터라는 장치를 붙여서 신호가 케이블로 되돌아오는 것을 막는다.
  • 터미네이터 : LAN의 전기 신호가 양끝에서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덧붙이는 종단기
  • 버스형에서는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노드가 데이터를 전송하면 브로드캐스팅되어 나머지 노드가 수신할 수 있다.
  • 연결된 다른 노드들은 데이터의 수신 측 주소가 자신이면 수신하고, 그렇지 않으면 흘려보낸다.
  • 브로드캐스팅 : 하나의 송신 측이 다수의 수신 측 단말을 지정하여 동일한 정보나 메시지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
  • 노드는 탭과 유도선으로 버스에 연결된다.
  • : 주 케이블의 연결 장치나 전선의 금속성에 연결하기 위해 케이블의 피복에 구멍을 낸 것
  • 유도선 : 주 케이블과 장치를 연결하는 선
  • 신호가 중추 네트워크를 따라 이동할 떄 그 애너지의 일부가 열로 반환되므로 신호는 멀리 이동할 수록 점점 약해진다.
    • 버스가 수용할 수 있는 탭 수와 탭 간 거리가 제한된다.
  • 장점
    • 설치가 간편하다.
    • 케이블 비용이 적게 든다.
    • 장치를 추가하기 쉽다.
    • 고장이 나도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중추 케이블을 가장 효과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 다양한 길이의 유도선으로 노드를 연결할 수 있다.
      • 성형이나 트리형보다 사용하는 케이블의 양이 적다.
  • 단점
    • 연결되는 장비의 수가 많아지면 네트워크 성능이 저하된다.
    • 중앙 케이블이 고장나면 전체 네트워크가 작동하지 않는다.
    • 버스 케이블에 결함이나 파손이 발생하면 모든 전송을 중단하고, 끊어진 한쪽 지역에 있는 장치 간에도 전송할 수 없다.
      • 손상된 지역에서는 양방향으로 잡음이 일어나기 때문이다.
    • 재구성이나 결합, 분리가 어렵다.
    • 버스형은 일반적으로 설치 시점에 최고의 효율을 내도록 설계되므로 새로운 장치를 추가하기 어려울 수도 있다.
    • 탭에서 일어나는 신호의 반사는 신호의 질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이러한 문제는 주어진 길이의 케이블에 연결하는 장치의 간격과 장치 수를 제한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 결국 새 장치를 추가하려면 중추 케이블을 교체하거나 변경해야 한다.
    • 베이스 전송 방식에서는 케이블의 전송 거리가 멀어지면 신호가 점점 약해지기 떄문에 중계기를 사용해야 한다.
      • 베이스밴드 전송 방식 : 데이타를 전송할 떄 신호를 변조하지 않고 그대로 보내는 방식
    • 한 노드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다른 노드에서 먼저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이면 충돌이 발생하므로 나중에 다시 전송해야 한다.
    • 트래픽이 많거나 연결된 노드의 수가 많으면 충돌이 잦아져서 네트워크의 성능이 떨어진다.

트리형

  • 중앙에 있는 전송 제어 장치에 모든 장비를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트리 모양의 노드에 전송 제어 장치를 두고 노드를 연결하는 형태
  • 성형에서 변형된 방식
  • 트리의 최상위에 위치한 허브는 하위의 노드를 제어한다.
    • 이러한 구조는 상위의 노드가 하위 노드를 직접 제어하는 계층적 네트워크에 적합하다.
  • 트리형에서 중앙에 있는 허브는 능동적인 허브다.
  • 능동적인 허브에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받은 비트 패턴을 재생하는 하드웨어 장치인 중계기가 포함된다.
  • 중계기가 포함되면 신호의 재생 측면에서도 데이터의 전송이 쉽고 신호의 이동거리 또한 늘어난다.
  • 장점
    • 제어가 간단하여 네트워크 확장이 쉽다.
    • 중앙에 있는 하나의 전송 제어 장치에 많은 장비를 연결할 수 있어 각 장비 간의 데이터 전송 거리를 늘릴 수 있다.
    • 여러 컴퓨터를 분리하거나 우선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 단점
    • 중앙에 트래픽이 집중되어 병목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 중앙의 전송 제어 장치가 다운되면 전체 네트워크에 장애가 발생한다.

링형

  • 노드가 링에 순차적으로 연결된 형태
  • 모든 컴퓨터를 하나의 링으로 연결한다.
  • 각 노드는 인접한 두 노드와 연결되고 전체 네트워크는 하나의 링을 형성한다.
  • 하나의 노드에서 보낸 데이터는 링을 따라 한 방향으로 전송된다.
  • 데이터를 수신한 노드는 자신이 수신지가 아니면 매번 신호를 재생하여 다음 노드로 전송한다.
  • 매번 신호를 재생하여 다음 노드로 전송하는 특성때문에 링형은 잡음에 강하고 전송 도중의 오류를 줄일 수 있다.
  • 수신지 노드가 데이터를 수신하면 그 데이터가 링에서 제거된다.
  • 링형 네트워크에 있는 각 노드는 중계기를 포함하고 있다.
  • 다른 기기가 보낸 신호를 받으면 중계기가 이를 재생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 링형의 종류
    • 단순 링형 (single ring)
      • 데이터를 링의 한 방향으로만 전송한다.
      • 송신 측이 전송한 데이터를 이웃 컴퓨터가 받아 수신 측 주소를 확인한다.
      • 자신이 수신지가 아니면 다음 컴퓨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수신지에 데이터가 전송된다.
      • 단순 링형은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중 하나라도 고장이 나면 네트워크 전체가 다운된다.
    • 이중 링형 (double ring)
      •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전송한다.
      • 한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다가 장애가 발생하면 반대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 장점
    • 구조가 단순하여 설치와 재구성이 쉽다.
    • 장애가 발생해도 복구 시간이 빠르다.
    • 각 장치는 바로 이웃하는 장치에만 연결되어 있다.
    • 장치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떄는 연결선 2개만 움직이면 된다.
      • 이 떄의 유일한 제약은 송신 매체와 통신량이다. (링의 최대 길이와 장치 수를 의미한다.)
    • 일반적으로 신호가 항상 순환하므로 한 장치가 특정한 시간 내에 신호를 받지 못하면 경보를 한다.
      • 이 경보는 네트워크 운영자에게 문제의 발생과 위치를 알려준다.
    • 성형보다 케이블 비용을 많이 줄일 수 있다.
  • 단점
    • 링을 제어하는 절차가 복잡하다.
    • 새로운 장비를 연결하려면 링을 절단한 후 장비를 추가해야 한다.
    • 단순 링형의 경우 결함이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다.
      • 여기서 결함은 네트워크 내 한 장치가 사용불가능한 경우를 의미한다.
      • 이러한 약점은 이중 링형이나 스위치를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그물형

  • 중앙에 제어하는 노드가 없고 모든 노드가 서로 전용의 점대점으로 연결되는 형태
  • 이 때 전용은 연결된 두 장치 간의 통신만 담당하는 링크가 있음을 의미한다.
  • 그물형에서는 n(n - 1)/2개의 물리적 채널이 필요하다.
  • 이처럼 많은 링크를 수용하려면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가 n - 1개의 입출력 포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 그물형은 네트워크가 복잡하고 많은 통신 회선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들지만 신뢰성이 높아 중요한 네트워크에 주로 사용한다.
  • 장점
    • 전용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많은 장치를 공유하는 링크에서 발생하는 통신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한 링크가 고장나더라도 전체 시스템에는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 일부 통신 회선에 장애가 발생하면 다른 경로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면 된다.
    • 모든 메시지를 전용선으로 보낸다.
      • 수신자만 받을 수 있다.
      • 비밀 유지와 보안에 유리하다.
    • 결합의 식별과 분리가 비교적 쉽다.
    • 전송에 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는 링크는 관리자가 우회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 관리자는 문제가 발생한 곳을 쉽게 찾아 그 원인을 바로 해결할 수 있다.
  • 단점
    • 노드를 다른 모든 노드와 연결해야 하므로 설치와 재구성이 어렵다.
    • 필요한 전선의 용적이 벽 속이나 천장, 바닥 아래 등 전선을 수용할 공간보다 클 수도 있다.
    • 네트워크가 복잡하고 많은 통신 회선이 필요하다.
      • 각 링크와 연결되는 하드웨어(I/O 포트와 전선)에 엄청난 비용이 들기도 한다.

혼합형

  • 2종류 이상의 형태를 혼합해서 사용하는 방식
  • 소규모 네트워크가 아니라면 순수한 구성 방식은 실제로 보기는 어렵다.
  • 노드 수가 상대적으로 많은 실제 네트워크에서는 효율을 높이고 결함 허용 능력을 증대하기 위해서 혼합형 접속 형태를 사용한다.
  • 네트워크 서브넷을 서로 연결하여 규모가 큰 접속 형태를 만들기 위해 여러 접속 형태를 결합할 수 있다.
  • 서브넷 : 대규모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개별 네트워크

출처

  • 네트워크 개론 3판 (전혜진 지음)
이 기사는 저작권자의 CC BY 4.0 라이센스를 따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