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는 5월부터 공부할 예정
도커에서의 볼륨 도커에서는 컨네이터의 무상태성 때문에 컨테이너가 삭제되면 내부의 데이터도 함께 삭제됬다. 그래서 볼륨(Volume)을 통해 로컬 컴퓨터 내의 디렉토리와 컨테이너 내부의 디렉토리를 동기화해서 컨테이너 내부의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었다. 쿠버네티스의 볼륨 쿠버네티스에도 볼륨이라는 기능이 존재한다. 다만 차이점은 도커에서는 ...
환경변수 만약에 쿠버네티스를 사용할 때 환경변수를 등록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컨테이너에 직접 환경변수를 선언할 때는 docker run 명령어를 실행할 때 -e 옵션을 통해 환경변수를 선언했었다. 하지만 쿠버네티스에서는 컨테이너를 파드로 감싸고, 여러 개의 파드를 레플리카셋으로 감싸고, 그 레플리카셋을 디플로이먼트가 관리하는 형태다. 컨테...
디플로이먼트(Deployment) 소개 파드는 자동으로 배포한다. 현업에서는 일반적으로 서버를 작동시킬 때 파드를 수동으로 배포하진 않는다. 디플로이먼트(Deployment)라는 걸 활용해서 파드를 자동으로 배포한다. 디플로이먼트란? 쿠버네티스에서 파드를 묶음으로 쉽게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이다. 디플로이먼트를 사용하는 이유 파드의 수를...
-
새 버전의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